매년 오월이면 어린이날을 전후하여 늘 들르는 우리 동네의 야산이 있습니다. 이 시기, 엄청난 군락을 형성하는 은방울꽃 서식지입니다. 접근성도 매우 좋아 차에서 내려 약 10분 정도만 산책길을 걸으면 곧바로 은방울꽃 왕국으로 뛰어들게 됩니다. 적절한 시기에 찾아가면 끝없이 빽빽한 그 규모에 먼저 압도당하고, 바람에 실려 오는 그 알 듯 모를 듯 대책 없는 아련한 향기에 정신마저 빼앗길 지경입니다.
그 앙증맞게 예쁜 자태를 한 번 담아보겠다고 사진기를 들이댈라치면 도대체 어느 것부터 초점을 맞추어야 할지 도무지 감이 안잡혀 혼란스러운 것은 덤이지요. 정신 바짝 차리고 이런 저런 고심 끝에 겨우 몇 컷 담아 와서 컴퓨터 화면으로 리뷰해 보는 순간, 본인 사진 솜씨의 허접함에 깊은 자괴감을 안겨주는 것이 바로 이 은방울꽃입니다.
어쨌거나 올해도 몇 번에 걸쳐 이 곳 군락을 찾았습니다.
※ PC에서는 사진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. 모바일에서는 확대가 안돼요.
동대산
아스파라거스科 은방울꽃屬 식물은 개량/원예형이 아닌 자생종 기준으로 보면 전 세계적으로 다음 3가지가 있다고 합니다.
1. 유럽은방울꽃 : Convallaria majalis 콘발라리아 마얄리스
2. 은방울꽃 : Convallaria keiskei 콘발라리아 케이스케이
3. 트란스카우카시카은방울꽃 : Convallaria transcaucasica 콘발라리아 트란스카우카시카
유럽은방울꽃 Convallaria mijalis
외관상으로는 우리 동네에서 볼 수 있는 종과 특별히 다른 점을 찾기 어렵다
(출처 : 외국:인터넷 검색)
그런데 위 3가지 중 우리가 주변에서 만나는 은방울꽃과 그 이름도 생소한 트란스카우카시카은방울꽃을 유럽은방울꽃의 아종(亞種)으로 보고 있어서 위 3종은 단일種인 것이 정설로 굳어가는 것 같습니다(우리가 남이가?).
따라서 모든 은방울꽃의 원조격이라 할 수 있는 유럽은방울꽃을 기준으로 이야기를 풀어나가 보겠습니다.
동대산
요새 심심풀이로 라틴어에 관심을 가지면서부터 꽃을 만날 때마다 학명을 찾아보고 학명의 어원을 알아보는데 재미를 들였습니다. 라틴어 어원을 검색하려면 인터넷 검색 창에서 https://en.wiktionary.org/wiki/@@@@@#Latin 를 입력하면 됩니다. 물론 @@@@@부분을 원하는 라틴어 단어로 대치해서요.
동대산
먼저 속명(屬名) Convallaria는 라틴어로 계곡(valley)이라는 뜻의 'Convallis'에서 왔습니다. 종소명(種小名) majalis 는 5월(May)를 뜻하는 라틴어 maia 와 속격 형용사형 어미 -alis가 결합된 것입니다. 따라서 "Convalliria majalis"는 "5월 계곡에서 피는 꽃"이라는 정도의 의미가 되겠군요. 영어권에서 먼 과거로부터 불려 온 은방울꽃의 영어 명칭이 "Lily-of-the-Valley"인데 학명시스템을 제창한 식물학자 린나이우스(린네)가 학명 중 속명 및 종소명은 라틴어로 표기한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이를 라틴어로 옮긴 것이지요. 은방울꽃이 우리나라만 5월 초에 피는 것이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다 그런가 봅니다.
동대산
자료 참조를 위해서 영문 위키피디아를 찾아보니 은방울꽃이 사람들의 사랑을 특히 많이 받는 꽃이어서인지 참으로 많은 이야깃거리가 수록되어 있습니다. 일부 발췌하여 간략히 옮겨 봅니다.
출처 : https://en.wikipedia.org/wiki/Lily_of_the_valley
분포
유럽 원산이고 지중해, 대서양 연안에는 서식하지 않는다. 아시아형 변종(C. keiskei) 일본 및 동아시아 일부에서 발견된다. 미국형 변종은 미 동부에서 서식한다. 여타 다년생 속씨식물과 마찬가지로 씨앗을 통한 유성생색과 무성생식 2가지 모드를 다 가지고 있다.
종류
3가지 변종이 있는데, 식물학자에 따라 독립종으로 혹은 아종으로 보기도 한다.
- Convallaria keiskei - 중국, 일본에 분포. 열매가 빨간색이고 그릇 모양의 꽃이 핀다
- Convallaria majalis var majalis - 유라시아에 분포. 꽃에 흰 색 주맥이 있다
- Convallaria majalis var. montana - 미국에 본포. 꽃에 얕은 녹색의 주맥
디오리시모(Diorissimo)
(출처 : Dior사)
은방울꽃 부케
출처 : Dreamstime.com
노르웨이 룬너 지방 문장(紋章)
독일 궁정화가 프란츠 빈터할터(Franz Xaver Winterhalter)의 그림속에 등장하는 은방울꽃 부케
Queen의 앨범 "Sheer Heart Attack"의 뒷표지
###########################
다음은 올해 여기저기서 담아 본 은방울꽃이다.
(끝)
'야생화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소백산 야생화 트레킹 (0) | 2018.06.03 |
---|---|
박쥐나무 (0) | 2018.06.01 |
단풍박쥐나무 + 박쥐나무 (2) | 2018.06.01 |
게재 시기를 놓쳐버린 올해의 봄 꽃 시리즈 #10 - 앵초 (0) | 2018.05.26 |
게재 시기를 놓쳐버린 올해의 봄 꽃 시리즈 #9 - 설앵초 (0) | 2018.05.13 |
게재 시기를 놓쳐버린 올해의 봄 꽃 시리즈 #8 - 애기송이풀 (0) | 2018.05.13 |
게재 시기를 놓쳐버린 올해의 봄 꽃 시리즈 #7 - 남바람꽃 (0) | 2018.05.09 |
게재 시기를 놓쳐버린 올해의 봄 꽃 시리즈 #6 - 얼레지 (0) | 2018.05.07 |
게재 시기를 놓쳐버린 올해의 봄 꽃 시리즈 #5 - 만주바람꽃 (0) | 2018.05.06 |